경제용어사전

유지관리부 리스

[maintenance lease]

통상적인 리스는 이용자가 대상물건을 취득할 때 그 비용에 대해서만 금융지원을 받는다. 이에 비해 유지관리부 리스는 취득시의 구입비용뿐 아니라 리스기간 중 대상물건의 제세금, 보험료, 수리비 등 유지관리에 따르는 비용까지도 도맡아 지원·관리해주는 리스상품이다.

리스 이용자는 그 대신 해당 리스회사에 물건의 구입 비용과 각종 유지관리비용의 원가에 일정 수수료를 매달 분할 상환하면 된다. 이용자로서는 물건의 구입 및 관리에 따르는 비용부담을 덜 수 있다. 외국에서는 자동차, 컴퓨터, 의료장비 등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는 자동차의 유지관리부 리스가 일반화돼 현재 1백 50만 대 가량의 자동차가 이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리스기간은 3년 6개월 이상이며 중도 해약이 안 된다. 또 보험에 들 경우 사용자 명의의 보험가입이 가능해 무사고 경력 등에 따라 보험률을 낮출 수도 있다.

  • 연명의료

    환자가 회복할 가능성이 없는데도 죽음에 이르는 기간만 연장하기 위해서 하는 심폐소생술, 인...

  • 임상시험자료집[clinical data package]

    의약품의 약동학, 약력학, 용량반응, 안전성ㆍ유효성, 시판 후 사용경험에 대한 정보 및 증...

  • 원 소스[one source multi use]

    하나의 콘텐츠를 영화, 게임, 음반, 애니메이션, 캐릭터 상품, 장난감, 출판 등 다양한 ...

  • 유통금융

    유통금융은 증권회사들이 자체 자금으로 제공하는 신용융자제도와 같이 투자자들이 신용으로 주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