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위탁가공무역

[consignment processing trade]

해외에 진출한 국내기업의 현지법인이 생산 가공한 물품 또는 제3국 기업에 위탁하여 같은 나라에서 가공 생산한 제품을 다시 들여오거나 제3국에 수출하는 무역거래형태. 임가공무역이라고도 불린다.

생산을 의뢰하는 업체는 원자재를 제공하는 한편 생산될 제품의 브랜드, 품질, 규격, 수량 등을 지정해준다. 위임을 받은 업체는 생산장비와 노동력만을 투입해 제품을 생산한 후 위탁업체로부터 가공임을 받는다.

주로 임금이 싼 개도국에 선진국이 위탁가공을 의뢰하는 게 일반적이다. 원자재와 수출품의 소유권은 모두 생산의뢰업자에게 있고 제품은 확실히 수출돼 생산국 입장에선 별 부담이 없다. 국내기업들의 경우 주로 종합상사 등이 저렴한 임금을 겨냥해서 중국, 동남아한 등에 위탁가공무역을 하고 있다.

관련어

  • 유책주의

    바람을 피우는 등 배우자 중 한쪽에 결혼생활을 깨뜨린 책임이 있을 때 그 상대방에게만 재판...

  • 애기장대

    고등식물중 최초로 게놈염기 서열 분석이 완료된 식물로 발아해 다음 씨가 맺힐 때까지 1세대...

  • 일람불어음[sight draft]

    요구에 의해서 지불되는 어음. 대금청구 즉시 교환되는 어음. 매입은행이 상환을 위하여 상환...

  • 이미지 광고[image advertising]

    회사, 제품, 상표 등의 실체에 대해 특별한 이미지를 창조하려는 광고. 이는 실체의 특성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