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고장력 저합금강

[High‑Strength Low‑Alloy steel, HSLA]

소량의 합금 원소를 넣어 항복강도 250590 MPa 수준으로 높이고, 탄소 함량은 0.050.25%로 낮춰 용접성과 성형성을 살린 고강도 구조용 합금강.

이 강종은 Nb(니오븀), V(바나듐), Ti(티타늄), Cu(구리), Ni(니켈) 등 미량 원소를 첨가해 결정립을 미세화하거나 석출 강화를 유도해 기계적 성능을 개선했다. 일반적으로 항복강도는 250590 MPa 수준이며, 일부 제품은 800 MPa 이상도 가능하다. 낮은 탄소 함량(0.050.25%) 덕분에 뛰어난 용접성과 절곡성을 지닌다.

자동차 섀시, 빔, 서스펜션, 건설 구조용 강재로 광범위하게 쓰인다. 스웨덴 SSAB의 ‘Docol HSLA’는 항복강도와 인장강도 차이를 100 MPa 이내로 줄여 우수한 성형성을 확보한 사례로 꼽힌다. 내식성, 피로강도, 충격 내성을 강화한 제품군은 교량, 파이프라인, 해양 구조물 등으로 적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 균형발전촉진지구사업

    지역 균형발전촉진지구 사업은 자치구별로 중심 거점지역을 지정, 육성해 각종 도시생활이 이뤄...

  • 규제일몰제[Sunset Law]

    규제가 만들어질 당시와 비교해 사회경제적인 상황이 변해 규제의 타당성이 없어졌는데도 규제가...

  • 가장납입

    주식회사 설립이나 유상증자 때 실제 대금을 납입하지도 않고 납입한 것처럼 꾸미는 것을 말한...

  • 국가 AI 컴퓨팅 센터[National AI Computing Center]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도하는 민·관 합작 고성능 컴퓨팅(HPC) 인프라로, AI 연구·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