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조정 EBITDA

[Adjusted EBITDA]

정 EBITDA란 기본 EBITDA에서 일회성 비용이나 비경상적 항목을 제외한 수익성 지표다.

구조조정 비용, 소송 관련 지출, 인수합병 비용, 재해 손실 등을 조정 대상으로 한다.

기업의 핵심 영업활동에서 발생하는 지속가능하고 반복적인 현금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된다.

투자자들이 기업의 실질적 운영성과를 더 명확히 평가할 수 있게 해준다.

사모펀드, 벤처캐피털, M&A 등 기업가치 평가에 널리 활용된다.

기업 간 비교분석과 미래 수익성 예측에 더 적합한 기준을 제공한다.

금융 계약상 부채 조항(debt covenant)의 기준으로도 자주 사용된다.

실무에서는 'one-off 항목 제외 EBITDA' 또는 'normalized EBITDA'로도 불린다.

  • 조건부 품목허가

    임상 2상 자료를 바탕으로 의약품 시판을 허가하는 제도다. 생명을 위협하거나 한 번...

  • 절약의 역설[paradox of thrift]

    개인이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늘리면 그 개인은 부유해 질 수 있지만 모든 사람이 저축을 ...

  • 전문투자자

    금융투자 상품에 대한 전문지식과 소유자산 규모 등을 기준으로 금융투자협회가 심사 후 자격을...

  • 주구[住區]

    도시계획 기준의 하나. 어린이들이 도로를 가로지르지 않고 안전하게 초등학교에 다닐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