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 EBITDA
[Adjusted EBITDA]정 EBITDA란 기본 EBITDA에서 일회성 비용이나 비경상적 항목을 제외한 수익성 지표다.
구조조정 비용, 소송 관련 지출, 인수합병 비용, 재해 손실 등을 조정 대상으로 한다.
기업의 핵심 영업활동에서 발생하는 지속가능하고 반복적인 현금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된다.
투자자들이 기업의 실질적 운영성과를 더 명확히 평가할 수 있게 해준다.
사모펀드, 벤처캐피털, M&A 등 기업가치 평가에 널리 활용된다.
기업 간 비교분석과 미래 수익성 예측에 더 적합한 기준을 제공한다.
금융 계약상 부채 조항(debt covenant)의 기준으로도 자주 사용된다.
실무에서는 'one-off 항목 제외 EBITDA' 또는 'normalized EBITDA'로도 불린다.
-
지상권
타인의 토지에 건물 기타 공작물이나 수목을 소유하기 위해 토지를 사용하는 권리를 말한다.
-
지정대리 청구인제도
치매, 무의식 등 보험 수익자가 보험금을 직접 청구할 수 없는 특별한 사정이 발생할 경우를...
-
자유토론기법[brainstorming]
각 분야의 전문가가 한자리에 모여 자유로운 토론을 주고받는 가운데 미래에 관한 전망을 종합...
-
지역주택조합사업
6개월 이상 일정지역에 거주한 무주택자나 전용 85㎡ 이하의 주택을 1채 소유한 사람들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