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노후계획도시

 

택지개발사업, 공공주택사업, 산업단지 배후 주거단지 조성사업 등으로 조성된 도시 중 20년 이상 지난 도시를 말한다.

2024년 1월 31일 국토교통부가 입법예고한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대한 특별법' 시행령 제정안에 등자하는 개념이다.

노후계획도시로 선정되면 안전진단 완화 또는 면제, 인허가 통합 심의 등의 혜택을 받는다.
특별법에 따라 용적률을 법적 상한의 150%까지 높일 수 있으며, 늘어난 용적률에 대해서는 최대 70%의 공공 기여 비율을 적용한다.

특별법 적용 대상 가구는 전국 108개 지구, 215만 가구이다.

  • 노이즈 마케팅[noise marketing]

    상품을 일부러 각종 구설수에 휘말리도록 해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고 판매를 늘리려는 마케팅 ...

  • 납입자본금[paid-in capital]

    주식을 발행하여 인수납입이 완료된 금액으로 발행주식의 액면총액과 동일하다. 총액을 초과하는...

  • 네거티브 리스트 제도[negative list]

    외국인 투자금지 업종만 규정하고 나머지 업종은 무조건 투자를 허용하는 방식.

  • 농가직접지불제도

    정부가 농가소득을 지원하는 정책의 하나. 그동안 주로 시행해 온 농산물 가격지지 대신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