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누적투표제

[accumulative voting]

주주총회에서 이사를 선출하는 방법 중 하나다. 보통은 주총이 열리기 전에 경영진이 미리 의견을 모아 이사를 추천한 뒤 주총장에서 이의가 있는지를 묻는 형식적인 절차를 거쳐 이사가 선출된다. 소액주주의 의사가 거의 반영되지 않고이사가 선임되는 셈이다. 이의가 있어 찬반투표를 하더라도 투표권에서 우세한 대주주를 이길 방법이 없다.

이와 달리 누적투표제는 대주주보다 소수주주의 이사선임 권한을 넓혀주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4명의 이사를 선임할 경우 누적투표제에서는 1만주를 가진 주주는 4만주의 투표권을 갖게 된다. 이때 주주가 마음에 두고 있는 한 사람에게 4만주를 몰아줄 수있다. 대주주도 마찬가지로 투표가능한 총 주식수가 4배로 늘어나지만 선임되기를 원하는이사가 많을수록 표가 분산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의결권을 집중시킬 수 있는 소수주주가 대주주보다 이사 선임과정에서 유리하다.

  • 녹다운방식 수출[Knock-down Export]

    부품이나 반제품 형식으로 수출하여 실수요지에서 제품을 완성시키도록 하는 현지조립방식의 수출...

  • 농업보조금

    농업분야에 투입되는 각종 정책지원금을 말한다. 개별농가에 대한 지원뿐 아니라 농업에 취해지...

  • 노동집약도[labor intensity]

    1 단위의 생산물을 산출하는 데 투입된 생산요소 중에서 노동이 차지하는 비율

  • 놈코어[normcore]

    노말(normal)’과 ‘하드코어(hardcore)’의 합성어로 평범함을 추구하는 패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