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세계국채지수

[World Government Bond Index, WGBI]

FTSE 러셀이 관리하는 이 지수는 주요 국가의 국채를 포함한 글로벌 채권 지수로, 미국, 영국, 일본 등 25개 주요 선진국과 신흥 시장 국가들의 국채를 기반으로 한다. 한국은 2022년 9월 WGBI 관찰대상국으로 지정된 이후, 2024년 10월에 편입이 확정되었으며, 2025년 11월부터 실제 지수에 반영될 예정이다.

WGBI는 블룸버그·바클레이즈 글로벌 종합지수(BBGA) 및 JP모건 신흥국 국채지수(GBI-EM)와 함께 세계 3대 채권 지수로 꼽힌다. FTSE 러셀은 매년 3월과 9월, 각국의 국채 발행 규모와 국가 신용등급, 시장 접근성 등을 평가해 WGBI 편입 여부를 결정한다.

2024년 10월 기준으로 한국의 WGBI 편입 비중은 2.22%로, 미국(40.4%), 일본(10.2%), 중국(9.7%) 등 선진국에 이어 9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한다.

현재 WGBI를 추종하는 자금은 약 2조 5000억 달러(약 3300조 원)로 추정되며, 한국이 지수에 편입됨에 따라 최소 560억 달러(약 75조 원)의 자금이 국내 채권 시장에 유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당국은 최대 670억 달러(약 90조 원)의 외국인 자금을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국의 WGBI 편입은 외국인 자금 유입으로 인해 국채 금리 하락을 유도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시중 금리 하락과 환율 안정으로 이어져 국내 금융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또한, 국채 조달 비용이 낮아지면 정부의 재정 운용 여력도 크게 확대될 전망이다.

  • 상실수익액

    교통사고 등으로 인해 보험가입자가 사망하거나 장애가 발생한 경우 피해자가 사고를 당하지 않...

  • 스포노믹스

    ‘sports(스포츠)’와 ‘economics(경제)’를 결합한 신조어. 스포츠의 경제적 ...

  • 수권주식수[shares authorized]

    회사의 정관에 규정된 발행이 가능한 주식수. 수권주식수= 발행 주식수 (수권주식 중 ...

  • 수소연료전지[hydrogen fuel cell]

    수소를 공기 중 산소와 화학반응시켜 전기를 생성하는 장치. 물을 전기분해하면 전극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