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무량판

[flat slab structure]

무량판은 대들보 없이 기둥이 바로 슬래브(콘크리트 천장)를 지지하는 구조다.

일반적으로 기둥이 천장을 잘 지지하려면 기둥과 천장 사이에 보를 연결하는데 이걸 라멘식 구조라고 한다. 기존 라멘식 구조와 달리 무량판 구조는 천장을 지탱하는 게 기둥뿐이다.
기둥과 맞닿는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기 때문에 슬래브가 뚫리는 것을 막으려면 기둥 주변에 철근(전단보강근)을 여러 겹 감아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하중을 견디지 못해 기둥이 슬래브를 뚫는 일명 '펀칭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무량판 구조는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지만 국내에선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의 오명으로 사용을 꺼려왔다. 백화점 등 일부 상업용 건물에만 무량판 방식을 써왔다.

2010년대 중반부터 공사비 절감과 내부 공간 활용 등 무량판 구조의 장점이 부각되면서 아파트 지하 주차장 등에도 적용되기 시작했다.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내부 구조를 바꾸기 쉽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건설 공사에선 터 파기에 상당한 비용이 드는데 무량판은 보를 두지 않아 층고를 낮출 수 있다. 암반이 많은 국내 지형 특성상 비용 절약 효과가 클 수밖에 없다. 지하 주차장 내부를 좀 더 넓게 쓸 수 있어 주차 공간이 늘어나 주민 만족도가 높다.

내부 리모델링이 어려운 벽식구조 아파트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 몇 년 사이엔 주거동에도 무량판 구조를 적용하는 아파트가 늘었다. 가구와 가구 사이에는 내력벽을 두되, 가구 내에는 벽을 가변형으로 쓸 수 있도록 무량판 구조를 채택하는 절충형이다.

무량판 구조는 설계나 시공 관리가 철저히 이뤄지지 않으면 붕괴에 취약한 구조로 꼽힌다.

  • 매파와 비둘기파[Hawk and Dove]

    ‘매파’와 ‘비둘기파’는 경제·금융 정책뿐 아니라 외교·안보 분야에서 입장 차이를 상징적으...

  • 무민세대

    ‘없을 무(無)’에 ‘의미하다’는 뜻의 영어 단어 ‘민(mean)’을 합친 신조어. 멍하게...

  • 물가연동국고채[Inflation-Linked Korean Treasury Bond, KTBI]

    물가연동국고채는 표면금리에 따른 이자 수익에 더해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연동된 물가상승...

  • 목표 관리[management by objective, MBO]

    조직의 거대화에 따른 종업원의 무기력화를 방지하고 근로의욕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표 관리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