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데이터 전문기관

 

기업간 데이터 결합을 전문적으로 지원하며,익명정보의 익명처리 적정성을 평가하는 기관.

A사가 갖고 있는 가명정보와 B사가 갖고 있는 가명정보를 합쳐 빅데이터를 구축하고자 할 때 데이터전문기관의 적정성 심사를 거쳐 각사의 정보를 결합할 수 있다.

데이터 전문기관은 신용정보법에 따라 금융위가 지정하는데 데이터의 익명·가명처리 적정성을 평가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결합해 주는 기관을 정한다.

금융위원회가 2020년 8월 5일 부터 시행한 개정 신용정보법에서는 안전하게 활용가능한 익명·가명정보 개념을 도입했으며 정부가 지정한 데이터전문기관을 통한 기업간 데이터(가명정보) 결합을 허용했다.

디지털 경제 시대 융합新산업 성장을 위해서는 금융, 통신, 유통 등 이종 산업간 데이터의 융합과 활용이 중요하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관련어

  • 동위효소분석

    생물체의 여러 가지 대사 기능을 조절하는 효소들 중 똑같은 기능을 지닌 효소들을 동위효소(...

  • 데드 캣 바운스[dead cat bounce]

    우리말로 해석하자면 "죽은 고양이도 꿈틀한다"는 뜻으로 주가가 급락하다가 일시적으로 소폭...

  • 담배세

    담배를 소비할 때 과세하는 세금으로 일종의 소비세이다. 원래 국세였으나 1989년 지방재정...

  • 단기외채

    빌릴 때 만기를 1년 미만으로 설정한 외채를 단기외채로 분류한다. 1년 이상으로 설정한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