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진세
[regressive tax]역진세는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세율이 낮아지는 세금이다. 즉, 소득이 적은 사람일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세율을 부담하게 됩니다. 역진세의 대표적인 예로는 부가가치세, 종합부동산세를 들 수 있다. 부가가치세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에 일정 비율을 곱하여 부과하는 세금으로, 소득과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동일한 세율을 부담한다. 따라서 소득이 적은 사람일수록 부가가치세에 대한 부담이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역진세는 소득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세금 부과가 간편하고, 재정 수입을 확보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긍정적인 평가도 받고 있다.
관련어
- 반의어누진세
-
이지스 어쇼어[Aegis Ashore]
일본 정부가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육상배치형 탄도미사일 방어(MD) 시스템. 해상자위대의 ...
-
영구적 위기[perma-crisis]
‘permanent’(영구적인)와 ‘crisis’(위기)의 합성어로 2022년 영국의 대표...
-
오커스[Australia,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AUKUS]
2021년 9월 15일 발족한 미국, 영국, 호주간의 인도태평양 지역의 3자 안보 협의체다...
-
용융아연도금강판[continuous galvanized iron, CGI]
철판에 아연을 도금해 내부식성을 높인 강판으로 자동차 등에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