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합계수익률 공시 제도

 

원리금 보장형과 비보장형 퇴직연금의 성과를 합산한 합계수익률을 공시하는 제도.

금감원은 ‘통합연금 포털’을 통해 퇴직연금의 사업자별 수익률을 △원리금 보장형 △비보장형 △합계 등 세 가지 형태로 제공한다. 소비자는 각 증권사, 보험사, 은행의 퇴직연금 적립금이 얼마인지, 단기 수익률(1년)과 장기 수익률(3~10년)이 어떤지 확인해 개인이 운용을 책임지는 확정기여형(DC)과 개인형 퇴직연금(IRP)에 가입하고 있다.

대부분의 소비자가 합계수익률로 금융사의 운용 성적을 판단하고 있다.

  • 협의처리와 합의처리

    협의 처리''는 여야 간 논의를 진행한 후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정해진 시한 내 본회의에...

  • 회색시장[grey market]

    정식 유통망을 통하지 않아 불법과 합법의 중간 지대 격인 매매시장을 속되게 이르는 말. ...

  • 화학물질 배출저감제도

    국민의 건강권을 보장하기 위해 벤젠, 디클로로메탄 등 고독성 화학물질의 배출량을 감축하도록...

  • 힉스입자[Higgs boson]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실험을 통해 존재가 증명된 17번째 기본 입자다. 현대물리학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