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합성인증
[適合性認證, Industrial convergence new product certificate]융합 기술이 적용된 새로운 제품이 관련 시장에 출시에 필요한 기존 인·허가 기준에 부합하지 않거나 기준이 없는 경우 적합성 인증을 6개월 내 진행해 신속한 제품 출시를 지원하는 제도다.
이 같은 적합성 인증제도는 총 3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해당기업이 `적합성인증'을 신청하면 대상여부를 검토하고, 적합성 인증기준 마련·신속절차(fast-track)심사를 거쳐 6개월 이내에 최종 인증서 발급·공고된다.
융합신제품에 적용되는 적합성인증제도는 규제샌드박스와 더불어 대표적인 기업 규제 완화 제도로 융합신제품의 시장 출시를 앞당기기 위해 2014년 도입됐다.
-
제1차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2030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2050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윤석열 정부가 2023년 3...
-
중간감사[interim audit]
회계기간 종료시가 아닌 회계기간 중 특정 시점에 회사의 재무기록을 검사하는 것. 중간결산이...
-
주식형펀드
자산의 최소 60% 이상을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를 말한다. 한편 자산의50~60%를 투자하...
-
직접금융[direct financing]
직접금융은 기업이 자금조달을 할 때 금융기관을 개입시키지 않고 주식이나 회사채를 발행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