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주택임대차 신고제

 

주택임대차 신고제는 전세보증금 6,000만 원 초과 또는 월세 30만 원 초과 임대차 계약을 체결할 경우, 30일 이내에 지방자치단체에 신고해야 하는 제도다.

임차인 보호와 시장 투명성 강화를 위해 2020년 8월 도입돼, 2021년 6월부터 시행됐다.

아파트, 단독·다가구, 빌라, 오피스텔, 고시원 등 주거용 부동산이 모두 신고 대상이다.

정부는 제도 시행 초기인 2021년부터 국민 부담을 고려해 과태료 부과를 유예하는 계도기간을 운영했다.

계도기간은 2025년 5월 31일부로 종료된다.

2025년 6월 1일 이후 체결되는 임대차 계약부터 신고를 누락하거나 허위로 신고하면 과태료가 부과된다.

과태료는 최고 100만 원이며, 실제 부과는 2025년 7월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다만 2025년 5월 31일까지 체결된 계약은 과태료 부과 대상에서 제외된다.

국토교통부는 주택 임대차 신고제 정착을 통해 전월세 시장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 직접법

    간접법과 함께 현금흐름표를 작성하는 방법중 하나. 현금을 수반하여 발생한 수익 또는 비용항...

  • 자기효능감[self-efficacy]

    어떤 문제를 자신의 능력으로 성공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자기 자신에 대한 신념이나 기대감...

  • 전자상품코드[Electronic Product Code, EPC]

    전자상품코드를 말한다. MIT의 오토 아이디 센터(Auto-ID Center)가 개발한 상...

  • 중매인

    농수산물 도매시장 및 농수산물 공판장에 상장된 농수산물을 경매를 통해 소매상에 중개하는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