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고난도 금융상품 숙려제

 

복잡하고 위험도가 높은 금융투자상품인 '고난도 투자상품'에 대해선 최소 이틀 이상의 숙려기간이 지나고 확정해야 계약이 최종적으로 체결토록한 제도.

2019년 해외금리연계 파생결합사태(DLF) 사태 재발 방지책으로 마련된 조치로 2021년 5월 10일 부터 시행되고 있다.

고난도 금융상품은 원금의 20% 넘게 손실이 날 수 있는 파생결합증권과 파생상품, 운용자산의 수익구조를 이해하기 어려운 상품 등이다.
고난도 금융투자상품과 투자일임·금전신탁계약을 청약할 경우 2영업일 이상 이를 숙려기간을 주어야 한다. 이후에 청약 의사를 다시 한 번 표현해야만 청약과 계약체결이 확정되고 그렇지 않으면 투자금을 돌려받는다.

한편, 파생상품 등에 대해서는 이러한 녹취·숙려 제도가 오는 8월부터 시행된다.

  • 균형금리[equilibrium interest rate]

    자본시장에서 자금수급의 균형을 가져오는 장기적 의미의 금리 수준을 말한다. 그러나 균형금리...

  • 경기예고지표[business warning indicator, BWI]

    과거의 경제동향과 실적을 토대로 하여 산출된 주요 경제지표의 추세를 분석하여 현재의 경기상...

  • 금융의 증권화[securitization]

    금융시장에서 주식이나 채권 등의 증권을 이용한 자금조달 및 운용이 확대되는 것을 말한다. ...

  • 가짜 새벽[false dawn]

    실상은 그렇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상황이 호전돼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상황. 이는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