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고난도 금융상품 숙려제

 

복잡하고 위험도가 높은 금융투자상품인 '고난도 투자상품'에 대해선 최소 이틀 이상의 숙려기간이 지나고 확정해야 계약이 최종적으로 체결토록한 제도.

2019년 해외금리연계 파생결합사태(DLF) 사태 재발 방지책으로 마련된 조치로 2021년 5월 10일 부터 시행되고 있다.

고난도 금융상품은 원금의 20% 넘게 손실이 날 수 있는 파생결합증권과 파생상품, 운용자산의 수익구조를 이해하기 어려운 상품 등이다.
고난도 금융투자상품과 투자일임·금전신탁계약을 청약할 경우 2영업일 이상 이를 숙려기간을 주어야 한다. 이후에 청약 의사를 다시 한 번 표현해야만 청약과 계약체결이 확정되고 그렇지 않으면 투자금을 돌려받는다.

한편, 파생상품 등에 대해서는 이러한 녹취·숙려 제도가 오는 8월부터 시행된다.

  • 공동연대부채[joint and several liability]

    채권자가 대출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의 상환을 요구할 수 있는 채권. 차입자는 일부가 아닌 ...

  • 개발수입[import for development]

    개발수입은 원자재 주산국에 자금과 기술을 제공하고 원자재를 재배, 생산, 개발하여 원금 상...

  • 기계투자효율[gross value added to machinery]

  • 관리회계[managerial accounting]

    재무회계기록을 기본자료로 이용하여 더 나은 경영계획이나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