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디플레이션의 저주

 

경기하방압력으로 물가가 떨어지는 디플레이션이 시작되면 정책금리인하가 더 이상 경기의 회생 수단으로 실효성을 발휘하지 못하는 현상.​

경제주체들이 대출,소비를 늘리는 기준은 실질금리인데, 디플레이션 상황에서는 중앙은행이 아무리 명목금리를 낮춰도 실질금리가 떨어지기 힘들기 때문이다.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것을 의미한다.

일본 중앙은행은 1990년 버블이 붕괴한 직후 금리 인하를 머뭇거렸다. 당시 벌어졌던 걸프전을 너무 의식했던 탓이다. 중동에서 발발한 걸프전은 국제 유가를 폭등시켰고, 국제 유가 폭등은 통상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진다. 일본 중앙은행은 이 효과를 과대평가한 나머지 금리 인하에 소극적이었다.


일본 중앙은행은 1991년 중반을 넘어서야 금리를 내렸다. 하지만 때는 늦었다. 이미 만성적인 디플레이션이 시작됐고, 금리를 내려도 사람들이 느끼는 실질금리는 떨어지지 않았다. 이에 일본 중앙은행은 지속해서 금리를 낮췄다. 리카가 영업하던 1995년 시장에서 예금 금리가 연 0.8%면 매우 파격적이란 이야기가 나온 배경이다.

  • 드래프트 제

    전직을 희망하는 엔지니어가 자신이 보유한 기능, 희망하는 보직 등을 입력하면 채용 희망 기...

  • 대표이사 상여처분

    회사 법인카드 등으로 쓴 비용의 사용처가 불분명할 경우 이 돈이 회사 대표에 흘러갔다고 보...

  • 담보부사채신탁[mortgage bond trust]

    사채를 발행하는 회사(위탁자)가 신탁회사(수탁자)와 신탁계약을 체결하여 수탁자로 하여금 위...

  • 단말기 완전자급제

    단말기 구입과 통신요금 가입을 분리하는 제도. 이 제도가 도입되면 이용자는 온·오프라인 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