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목적 기반 차량

[Purpose Built Vehicle, PBV]

소비자가 원하는 대로 용도를 달리할 수 있는 이동 수단이다. 내·외부 디자인은 물론 좌석 배치, 각종 전자제품 적용 여부까지 맞춤형으로 설계할 수 있다. PBV는 단순한 탈 것이 아니라 움직이는 생활공간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현대기아차가 2020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0’에서다 제시한 개념이다.

PBV의 외관은 차체 길이가 4~6m 정도인 박스 형태 차량이다. PBV는 차체를 움직이는 하부와 사람 또는 사물을 위한 상부로 나눌 수 있다. 상부 설계나 디자인을 바꾸면 전혀 다른 차량으로 탈바꿈할 수 있다. 소비자가 원하는 대로 설계할 수 있어 이동수단과 무관한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오피스, 식당, 카페, 숙박공간, 약국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현대차그룹은 PBV에 자율주행 기술을 더하겠다는 계획이다. 완전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하면 탑승자는 PBV 내부에서 자유롭게 업무를 볼 수 있다. 추후 PBV 여러 대를 연결할 수 있는 ‘도킹 스테이션’도 구축할 예정이다. 여러 종류의 PBV를 한데 모으면 새로운 복합 공간을 만들 수 있다는 게 현대차그룹 관계자의 설명이다. 각종 의료용 PBV를 모아 하나의 종합병원을, 카페용 및 전시용 PBV를 모아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하는 방식이다.

  • 무수익여신

    무수익여신이란 부도 또는 법정관리에 들어가 3개월 이상 연체중인 업체에 대한 여신 중 손실...

  • 메그니피센트 7[Magnificent 7, M7]

    2023년 부터 미국 주식 시장의 상승을 이끌고 있는 미국 내 일곱 개의 AI 빅테크 기업...

  • 민관합작투자사업[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민간은 위험 부담을 지고 도로 등의 공공인프라 투자와 건설, 유지 및 보수 등을 맡되 운영...

  • 면역증강제

    항원이 일으키는 면역반응을 증강시키는 물질. 백신에 면역증강제가 함유되면 소량의 항원으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