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스크린 상한제

 

스크린 상한제는 관객이 몰리는 주요 시간대에 특정 영화의 상영관 스크린 수를 제한하는 제도다.

스크린 상한제의 목적은 특정 영화의 스크린 독과점 현상을 막고 영화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2019년 4월‘어벤져스: 엔드 게임’이 사전예매만 200만 장(예매율 96.8%)이 넘고, 전국 스크린의 90%가 넘는 2800여 개를 차지한 이후 부터 정부는 ‘스크린 상한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4월 22일에는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직접 '스크린 상한제’ 필요성을 역설하기도 했다.

한편, '스크린 쿼터'는 한국 영화 의무 상영 일수를 규정하는 제도이다.

관련어

  • 생명윤리법

    생명윤리 및 안전을 확보해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침해하거나 인체에 해를 끼치는 것을 막고,...

  • 소비재 펀드

    다른 업종에 비해 경기와 시장 변동 연향을 덜 받는 필수 소비재에 투자하는 펀드. ...

  • 세컨드티어스[second-tiers]

    브릭스 이후의 잠재 신흥국을 포괄한다. 터키와 인도네시아, 멕시코, 사우디아라비아 등이 대...

  • 생전 신탁[living trust]

    유언장 없이 신탁계약을 통해 생전·사후의 재산 관리와 운용까지 수탁자 뜻대로 관리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