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스크린 상한제

 

스크린 상한제는 관객이 몰리는 주요 시간대에 특정 영화의 상영관 스크린 수를 제한하는 제도다.

스크린 상한제의 목적은 특정 영화의 스크린 독과점 현상을 막고 영화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2019년 4월‘어벤져스: 엔드 게임’이 사전예매만 200만 장(예매율 96.8%)이 넘고, 전국 스크린의 90%가 넘는 2800여 개를 차지한 이후 부터 정부는 ‘스크린 상한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4월 22일에는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직접 '스크린 상한제’ 필요성을 역설하기도 했다.

한편, '스크린 쿼터'는 한국 영화 의무 상영 일수를 규정하는 제도이다.

관련어

  • 산업 인터넷[industrial internet]

    미국의 제너럴일렉트릭(GE)사가 모든 산업의 장비들에 인터넷이 접목된다는 의미로 "사물인...

  • 슈퍼노트[super note]

    초정밀 100달러짜리 위폐를 말한다. 진짜 화폐와 똑같이 면섬유 75%와 마 25%로 만들...

  • 소셜 커머스[social commerce]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한 전자상거래의 일종으로 소셜 쇼핑(...

  • 스케줄러[scheduler]

    다수의 응용프로그램들이 독립된 메모리공간을 가지고 서로 자원의 충돌 없이 수행될 수 있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