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스캠 코인

[scam coin]

사실과 다른 내용으로 투자자를 현혹시켜 투자금을 유치하는 행위를 `스캠'이라하고 이 때 발행하는 코인을 스캠코인이라고 한다.

즉, 사기를 목적으로 하는 암호화폐를 말한다.

스캠코인은 크게 세 분류로 나뉜다.

첫 번째 초보적 수준의 스캠으로 처음부터 사기를 목적으로 만든 것이 이에 속한다. 실현이 불가능한 목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나 정보가 있다며 고수익을 보장하는 것들이 대게 이 부류로 ICO를 통해 자금이 모금 되면 곧바로 잠적한다. 보물선 코인으로 사기판을 벌였던 `신일골드코인'이 대표적 사례이다.

두 번째는 중급수준의 스캠인데 사기를 목적으로 하는 점은 초보 수준 스캠과 같지만 ICO를 한 후 거래소에 상장을 한다는 점이 다르다. 일반 투자자들은 상장된 코인에 대한 신뢰가 높은 편인데, 자금을 유치한 측은 상장후 시세조작으로 막대한 차익을 거둔 후 사라진다.

세 번째는 고급수준의 스캠이다. 자금 유치자가 처음부터 사기를 목적으로 했다기 보다는 추진과정에서 백서대로 실현이 불가능하거나 수익성이 떨어져 중도에 개발 계획을 내부적으로 포기한 코인이 이에 속한다.

관련어

  • 세계신용기업[Global Trust Enterprise]

    GTE 98년 10월, 8개의 세계 최대 은행들이 B2B 참여자를 확인하기 위한 디지탈 인...

  • 수입과징금[import surcharge]

    수입을 억제하기 위해 부과하는 특별관세나 부가세. 수입과징금은 수입품에 대해서 부과하는 간...

  • 셀 아웃[sell-out]

    유통업체가 최종 고객들에게 판매하는 것.

  • 상호접속료

    서로 다른 통신사업자간에 타사의 통신망을 사용할때 발신 측 사업자가 착신 측 사업자에게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