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스놉 효과

[snob effect]

특정상품에 많은 사람이 몰리면 희소성이 떨어져 차별화를 위해 다른 상품을 구매하려는 현상을 말한다. 좋게 말하자면 우아한 백로처럼 남들과 다르게 보이려는 심리를 반영한다고 해서 백로효과라고 하지만 비판적으로는 "속물 효과" 혹은 속물을 뜻하는 영어인 'snob'을 사용하여 스놉효과 (snob effect)라고도 한다.

흔히 희귀한 미술품, 고급가구, 의류나 한정판으로 제작되는 재화에서 이런 효과를 볼 수 있다. 밴드왜건효과를 주장한 미국의 하비 라이벤스타인이 발표한 이론이지만 밴드왜건 효과와는 상반된 의미를 갖는다.

관련어

  • 실증경제학[positive economics]

    객관적 사실을 연구하며, 경제 현상의 인과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실질실효유가

    실질유가에 에너지효율성을 의미하는 원유집적도를 반영해 계산한다. 원유집적도는 실질 국내총생...

  • 선택적 근로시간제

    1개월 정산 기간 내 1주일 평균 52시간(기본 40시간+연장근로 12시간)을 초과하지 않...

  • 색재현율[Color Reproduction Range]

    디스플레이에서 색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수치로 표현한 것. 국제조명학회(CIE:Co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