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신보호무역주의

 

세계 무역 확대를 위한 GATT 협정, 1967년 케네디 라운드, 1973년 동경라운드 조인 및 OECD의 무역 자유화 선언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만성적 국제수지 적자와 빈번한 국제통화 위기, 브레턴우즈 체제의 붕괴, 오일 쇼크 등으로 많은 선진국가들이 무역과 외화에 대해 규제조치를 강화하여 보호무역주의화하는 경향을 ‘신보호 무역주의’라고한다. 특히 1988년 미국 상원 본회의를 통과한 종합무역법안은 이러한 결과에서 나온 대표적인 것이다. 신보호무역주의는 주로 선진국에 의해 자행되는 보호주의라는 점에서 후진국의 보호주의를 의미하는 전통적인 보호무역주의와 구별되고 있다. 즉, 유치산업 보호에 중점을 두었던 지난날과는 달리 국제 경쟁력을 잃은 사양산업 보호에까지 확대되는 경향이고 주로 비관세장벽에 의하고 있다.

  • 사이버 증권거래[cyber stock trading]

    사이버 증권거래는 컴퓨터에 증권사가 제공하는 CD를 깔거나 인터넷, PC통신, 일반 유선전...

  • 석유수출국기구[The Organization of the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 OPEC]

    1960년 원유가격 하락을 방지하고 국제석유자본(석유메이저)에 대한 발언권을 강화하기 위해...

  • 스킴플레이션[skimpflation]

    `인색하게 굴다’는 의미의 스킴프(skimp)와 ‘물가 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

  • 소셜베뉴[social venue]

    유럽의 대도시에서 상류층이 모여 파티·웨딩·전시·공연 등의 문화를 교류하는 트렌디한 공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