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스킴플레이션

[skimpflation]

`인색하게 굴다’는 의미의 스킴프(skimp)와 ‘물가 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친 말이다.

미국 연방의회 경제위원회의 앨런 콜 선임 이코노미스트가 만들어 낸 신조어다.

제품의 품질을 낮추거나 성분을 변경하여 가격을 유지하거나 인상하는 것을 말한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불안 등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소비자들이 잘 알아 차릴 수 없기 때문에 스킴플레이션은 가장 교묘한 '꼼수' 인플레이션으로 불린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도 스킴플레이션을 부추긴다. 원자재 또는 부품 수급, 물류에 차질이 생기면서 소비자들은 더 비싼 가격을 지불하고 상품을 구매하지만 오히려 불편을 겪고 있는 셈이다.

콜 이코노미스트는 “스킴플레이션 현상이 경제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지만 정부가 산출하는 물가 통계에선 이런 현상이 반영되고 있지 않아 문제”라고 지적했다.

한편, 이와 유사한 용어인 슈링크플레이션은 제품의 가격은 그대로 유지하되, 용량을 줄이는 것을 말한다.

관련어

  • 시스템적으로 중요한 글로벌 대형 금융회사[Global Systemically Important Financial Institute, G-SIFI]

    전 세계 금융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주요 금융기관을 말한다. 2011년 11월 4일 주요 2...

  • 스마트팜[Smart Farm]

    사물인터넷(IoT) 등을 통해 수집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생육환경을 자동으로 제어...

  • 사용량-약가 연동제

    청구액이 예상청구액 또는 전년도 청구액 대비 일정수준 이상 증가하여 보험재정 부담이 발생한...

  • 소규모 기업효과[small size effect]

    회사의 규모가 작을수록 주식수익률이 높게 나타나는 현상. 규모가 작은 기업의 주식의 수익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