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킴플레이션
[skimpflation]`인색하게 굴다’는 의미의 스킴프(skimp)와 ‘물가 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친 말이다.
미국 연방의회 경제위원회의 앨런 콜 선임 이코노미스트가 만들어 낸 신조어다.
제품의 품질을 낮추거나 성분을 변경하여 가격을 유지하거나 인상하는 것을 말한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불안 등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소비자들이 잘 알아 차릴 수 없기 때문에 스킴플레이션은 가장 교묘한 '꼼수' 인플레이션으로 불린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도 스킴플레이션을 부추긴다. 원자재 또는 부품 수급, 물류에 차질이 생기면서 소비자들은 더 비싼 가격을 지불하고 상품을 구매하지만 오히려 불편을 겪고 있는 셈이다.
콜 이코노미스트는 “스킴플레이션 현상이 경제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지만 정부가 산출하는 물가 통계에선 이런 현상이 반영되고 있지 않아 문제”라고 지적했다.
한편, 이와 유사한 용어인 슈링크플레이션은 제품의 가격은 그대로 유지하되, 용량을 줄이는 것을 말한다.
관련어
- 참조어슈링크플레이션
-
스크루드라이브 조업[screwdriver work]
단지 드라이버 한 개로 조립하여 완성품을 만들어내는 조업방식 또는 이러한 방식을 취하고 있...
-
상설중재재판소[Permanent Court of Arbitration, PCA]
네덜란드 헤이그의 평화궁에 위치한 국제분쟁 중재기구이다. 1899년 설립된 뒤 한국을...
-
실수요
2주택자 양도세 중과배제 대상에는 ''실수요 2주택인 경우''라는 게 있다. 일반적으로 2...
-
서방출형 人성장호르몬[Sustained Release-human Growth Hormone, SR-hGH]
서방출형이란 약을 매일 투여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제형을 개선해 약효가 체내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