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반주름
황반 위에 딱딱한 섬유성 막이 자라나는 질환으로 망막전막증이라고도 부른다.
망막전막 두께에 따라 증상이 다른데 물체가 휘어 보이거나 서서히 시력이 떨어진다.
수술로 망막 표면에 생긴 막을 없애면 일상생활하는 데 문제가 없다. 다만 합병증으로 백내장이 생길 위험이 있다.
황반 아래에 물이 고이는 증상은 중심성 망막염이라 부르는데 스트레스, 과음, 흡연, 수면 부족 등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중심성 망막염이 생기면 갑자기 눈 앞에 동그란 동전 모양의 그림자가 생겨 시야를 가린다. 시야가 침침해지는 증상이 생긴다면 의심해야 한다.
자연적으로 회복되는 환자가 많지만 환자 30~50%는 재발하거나 후유증이 생기기 쉽다. 눈 건강에 좋은 신선한 채소와 과일을 섭취해야 한다. 카페인이 많은 커피는 삼가는 것이 좋다.
황반에 작은 구멍이 생기는 황반원공이 나타나면 갑자기 시력이 떨어진다. 유리체가 망막에서 떨어지면서 황반 조직 일부를 뜯어 구멍이 생기는 질환이다. 황반이 붓는 황반부종 환자도 많다. 황반부종은 당뇨망막병증이나 망막정맥폐쇄 때문에 주로 생긴다. 망막 혈관이 막히면 염증이 생기면서 황반이 붓는다. 시력을 유지하려면 눈에 주사를 맞아 붓기를 빨리 가라앉혀야 한다. 황반부종은 백내장수술을 받은 뒤에도 많이 나타난다.
-
화학물질 배출저감제도
국민의 건강권을 보장하기 위해 벤젠, 디클로로메탄 등 고독성 화학물질의 배출량을 감축하도록...
-
협의처리와 합의처리
협의 처리''는 여야 간 논의를 진행한 후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정해진 시한 내 본회의에...
-
후판[厚板]
두께 6㎜ 이상의 두꺼운 철판을 말한다. 선박용이나 건설용 철강재로 주로 쓰인다. 대부분 ...
-
협동로봇[collaborative robot, cobot]
사람과 동일한 작업 공간에서 상호작용하며 안전하게 협업하도록 설계된 산업용 로봇. 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