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시차이사회제도

[staggered board]

이사회 교체시 개편대상 인원이 3분의 1을 넘지 못하도록 하거나 매년 일정 비율(25∼50%)로 이사진이 순차적으로 바뀌도록 정관에 명시함으로써, 기업의 소유권이 넘어가더라도 이사진을 장악하는 데 장기간이 소요되도록 하여 기업의 인수 매력을 떨어뜨리는 방법을 말한다.

그러나 매수 기업이 이사들에게 특별공로금 등을 지급하여 사임시키거나 이사회 임원의 수를 늘려 기존 이사들을 자진 사퇴시키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적대적 M&A의 방어수단으로서는 비교적 효과가 약하다.

  • 시각효과[visual effect, VFX]

    영화, 드라마, 게임 등 영상 제작 과정에서 실제 촬영으로는 구현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장...

  • 신축성체제[Flexibility Mechanism]

    선진국의 의무이행에 신축성을 제공하기 위해 교토의정서에 새로이 도입된 의무이행 수단으로 공...

  • 상호금융

    농업협동조합, 수산업협동조합, 산림조합, 신용협동조합, 새마을금고와 같은 단위조합이 조합원...

  • 신규화합물

    기존에 공지되지 않은 새로운 화합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