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국세감면

 

국세감면은 조세감면, 비과세, 소득공제, 세액공제, 우대세율 적용, 과세이연, 조세특례에 따른 재정지원 등 세금을 부과한 뒤 받지 않거나 깎고 아예 세금 환급 형태로 장려금을 지급하는 세제 혜택이다. 세출예산은 아니지만 감면액만큼 예산 지원을 해주는 셈이어서 조세지출이라고 불린다.
국세감면액이 급증하면 재정 부담으로 이어지게 된다.
정부가 비과세·감면이나 각종 세액공제 등으로 지출하는 돈이 2018년 40조원에 육박하는 데 이어 2019년에는 처음으로 40조원을 넘길 전망이다. 정부가 세출예산으로 모자라 조세지출(국세 감면)까지 대폭 확대하면서 고용·복지를 떠받치려 하기 때문이다.

국세 감면이 늘어나는 것은 정부가 일자리 창출과 저소득층 지원을 명목으로 각종 세제 혜택을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올해 근로자를 새로 고용하는 중소기업에 1인당 최대 2000만원을 공제해주는 고용증대세제와 청년이 중소기업에 취업하면 5년간 소득세를 전액 면제하는 등의 일자리 관련 세제지원책을 도입했다.

관련어

  • 교육구좌제

    국가가 국민의 평생교육을 도모하고 정규 학교교육 이후 모든 국민의 개인별 교육정보를 수록해...

  • 공무원 공로연수제

    정년퇴직을 6개월~1년 남겨둔 공무원에게 사회에 적응할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에...

  • 곡물 엘리베이터[穀物倉庫, grain elevator]

    곡물을 저장하는 창고를 말한다. 곡물을 창고에 저장한 뒤 선박 등 운송수단에 실어 옮길 때...

  • 공기감염[空氣感染, aerial infection]

    바이러스가 공기 중에 떠다니다 타인이 공기를 흡입할 때 호흡기로 감염되는 것을 말한다.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