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공공기관 직무급제

 

직무급제는 업무 성격과 난이도, 직무 책임성 등에 비례해 급여를 결정하는 임금체계를 말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토론 과정에서 성과연봉제에 반대하고 단순히 연공서열대로 임금이 올라가는 구조도 옳지 않지 않다며 새로운 직무급제를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고용노동부는 2017년 11월 직무급제를 핵심으로 하는 ‘임금체계 표준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표준안에는 기존 연공서열형 호봉제를 단계적으로 폐지하는 대신 ‘동일노동-동일임금’ 원칙이 적용되는 직무급제를 도입하는 내용이 담긴다.
직무급제를 적용하면 낮은 호봉에서 시작해 연차에 따라 임금이 오르는 호봉제에 비해 초기에는 높은 임금을 받는 대신 인상률은 둔화된다. 신규 정규직 전환 대상자에겐 환영받겠지만 호봉제를 선호하는 기존 정규직 노조의 반발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다. 정부 관계자는 “기득권 노조의 반발 해소가 관건”이라고 했다.

  • 공공자금관리기금

    정부가 연금, 기금, 우체국 예금 등과 같은 공공자금을 민간시장에서 굴리지 않고 공공투자나...

  • 국유재산

    국유재산이란 넓은 의미에 있어서는 국가가 소유하는 일체의 동산·부동산 및 권리로서, 공유재...

  • 기업지배구조[corporate governance]

    기업내부의 의사결정시스템, 이사회와 감사의 역할과 기능, 경영자와 주주와의 관계 등을 총칭...

  • 거시경제학[macroeconomics]

    물가수준, 실업, 인플레이션과 산업생산 등과 같은 자료를 이용하여 전체로서의 국가경제의 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