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기업지배구조

[corporate governance]

기업내부의 의사결정시스템, 이사회와 감사의 역할과 기능, 경영자와 주주와의 관계 등을 총칭한다. 보다 엄밀하게 말하면 기업을 둘러싼 환경 전체를 상정하는 광의의 해석이 있고 기업 내부에 초점을 맞춘 협의의 해석이 있다. 넓게는 기업경영과 관련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이해할 수 있으며 경영의 주요 의사를 누가 결정하는가가 핵심이다.

기업경영 환경에는 기업 내부의 의사결정시스템은 물론 시장에 대한 규제, 금융 감독체계, 관행 및 의식 등이 망라된다. 좁게는 기업경영자가 이해관계자, 특히 주주의 이익을 위해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감시 통제하는 체계를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기업지배구조 개선작업은 사외이사제도 도입, 감사의 독립성 제고, 회계제도의 선진화, 주주권리의 강화, 금융감독체계 강화 등을 기본 골격으로 진행되고 있다.

기업지배구조는 경제발전 과정이나 역사 또는 문화적 특성 등에 따라 나라별로 적지 않은 차이가 있지만 크게 △전문 경영인이 경영의사 결정에 주도적 역할을 하는 전문 경영인 체제와 △오너가 중심인 가족경영 체제로 나눌 수 있다.

  • 과학논문인용 색인[Science Citation Index, SCI]

    미국 과학정보연구소 Institute for Science Informations (ISI...

  • 개구리밥[duckweed, Wolfia]

    연못이나 논 등 물 위에 떠서 사는 부유성 수생식물. 부평초라고도 불린다. 개구리가 사는 ...

  • 그레이트 로테이션[Great Rotation]

    2012년 메릴린치 자산보고서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 미국의 통화정책에 따라 글로벌 투자자...

  • 국제회계기준[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IFRS]

    런던 소재 민간기구인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1973년에 제정한 것으로 미국 회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