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수출입물가지수

[export and import price index]

수출입상품의 가격동향을 파악하고 그 가격변동이 국내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측정하기 위해 작성되는 특수목적지수 중의 하나다. 수출입물가지수의 가격조사 대상 품목은 수출입총액의 2천분의 1 이상의 거래 비중을 갖는 것이다. 2005년 기준 수출물가지수는 2백11개 품목, 수입물가지수는 2백34개 품목을 조사 대상으로 하고 있다. 품목별로 조사되는 가격은 수출은 FOB, 수입은 CIF 기준 미 달러화 표시가격을 원칙으로하되 일부 품목의 경우에는 거래관행에 따라 계약통화 표시가격을 적용하고 있으며, 가격조사 시점은 국내물가에 대하여 가장 선행성이 있는 시기의 실세를 파악할 수 있도록 수출입계약 시점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 삼중수소[Tritium]

    수소보다 3배 무거운 수소. 중수로 원자력발전소에서 냉각제로 사용하는 중수가 중수소로 변환...

  • 시장심도[market indepth]

    1,000주 거래시 가격변동이 1호가단위 이하인 거래량의 비중.

  • 세계수소산업연합회[Global Hydrogen Industrial Association Alliance, GHIAA]

    2022년 5월 25일 한국 주도로 글로벌 수소경제 시장 활성화 및 산업 촉진을 위해 설립...

  • 신규 태평양 횡단 해저광케이블[New Cross Pacific Cable System, NCP Cable System]

    아시아태평양과 북미 지역을 잇는 총 길이 1만4000㎞, 전송량 초당 80테라비트(1Tb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