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교통사고처리 특례법

 

1982년 교통사고로 인한 피해를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 제정됐다. 신호위반, 중앙선침범, 음주운전 등 11대 중과실 사고 또는 큰 인명 사고가 아니면 피해 보상과 합의를 조건으로 형사 처벌을 받지 않도록 했다.

하지만 한편에선 인명 존중보다는 가해자 중심이라는 비판이 꾸준히 나왔다. 손해보험사 관계자는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이 보상금만 마련할 수 있으면 처벌을 피할 수 있다는 면죄부 역할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 군집화[clustering]

    군집화(클러스트링: Clustering)는 데이터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여러 데이터를 그룹(...

  • 국제인간게놈프로젝트[HGP]

    Human Genome Project 인간유전자 해석작업. 인체의 모든 유전 정보가 담긴 ...

  • 글로벌 하이일드 펀드[global high-yield funds]

    일반 채권보다 위험이 높은 대신 금리가 높은 하이일드채권에 투자해 고수익·고위험을 추구하는...

  • 가상자산 시장규제법[Markets in Crypto Asset Regulation, MiCA]

    암호화폐의 정의부터 발행사·거래소 규제를 총망라한 EU 법률로 세계 첫 코인 규제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