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재정중독

 

경제성장을 정부의 재정정책(재정지출)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현상을 말한다.

정책입안자들이 인기없는 고통스러운 구조조정을 피하고 단기적으로 경기를 부양하려 할 때 손쉽게 동원할 수 있는 것이 재정지출인데 이는 결국 공공부문 부채의 증가로 이어지게 된다.

구조개혁이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인구 고령화와 공공부문 부채증가 등의 문제에 직면한 한국과 일본이 겪고 있는 공통된 현상이기도 하다.

  • 지급유예[moratorium]

    채무의 상환 또는 다른 법적 의무의 이행에 허락된 지연으로 경제 또는 정치의 혼란 등의 긴...

  • 재정절벽[fiscal cliff]

    집행하던 예산이 갑자기 삭감돼거나 중단되어 경제전방에 심각한 타격을 주는 현상을 말한다. ...

  • 적자성 채무

    국가채무는 외국환평형기금 채권처럼 정부가 자체적으로 상환할 수 있는 ‘금융성 채무’와 국민...

  • 적합성평가[conformity assessment]

    각종 제품 및 서비스는 추구하는 규격이나 기준이 정해져야 생산할 수 있는 데 이러한 요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