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위험가중자산이익률

[return on risk weighted assets, RORWA]

가계·기업과 신용·담보 등 대출 종류에 따른 위험 수준에 따라 가중치를 둔 위험가중자산 대비 이익 비중을 뜻한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리스크 대비 수익성이 높다는 얘기다. 총자산이익률(ROA)보다 자본의 효율성을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은행 간 경쟁이 치열해 마진이 작은 주택담보대출이나 위험 가중치가 높은 취약업종 대기업 여신은 아무리 영업 실적이 좋아도 RORWA를 끌어올리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국내에서는 아직 생소한 수익성 지표지만 씨티 바클레이즈 웰스파고 등 글로벌 은행들은 수년 전부터 기업설명회 때 RORWA를 필수적으로 포함시키고 있다. 글로벌 은행의 RORWA는 지난해 기준 1.5~2% 수준이다. 국내 은행에 비해 최대 두 배가량 높다.

은행들이 RORWA를 경영·영업 전략에 빠르게 적용하고 있는 것은 금융회사에 대한 새로운 국제 자본규제인 바젤Ⅲ 도입과 기업 구조조정 본격화 등으로 자본 건전성을 유지할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은행들은 2019년까지 국제결제은행(BIS) 비율을 최대 14%까지 높여야 한다. 바젤Ⅲ 아래서 은행들이 최저로 보유해야 하는 자본 규모는 위험가중자산에 따라 달라진다.

여기에 2016년부터 바젤Ⅱ에서 발행된 자본성 증권에 대한 자본인정 비율이 매년 10%씩 줄어든다. 국내 은행들이 바젤Ⅱ 기준에서 발행한 후순위채 등 자본으로 인정해주는 증권은 30조원을 웃돈다. 2016년 들어 국내 은행이 앞다퉈 조건부 자본증권(코코본드)을 발행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코코본드는 자본으로 인정돼 BIS 비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 어나니머스[Anonymous]

    전 세계에서 활동하는 인터넷 해커들의 집단. `익명'이라는 뜻의 어나니머스(anonymou...

  • 옥탄가[octane number.]

    이상점화현상을 말하는 노킹(knocking)을 억제하는 정도를 수치로 표시한 것이다. 석유...

  • 유리장 섬유[glass fiber]

    납석 석회석 등 무기원료를 혼합해 1500도 이상 고온에서 녹인 뒤 작은 구멍을 통해 마이...

  • 앵커기업[anchor business]

    특정 산업이나 지역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기업으로 해당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고, 일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