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경기종합지수

[composite index, CI]

경기종합지수는 경기변동의 방향, 국면, 전환점과 속도 및 진폭을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경기지표의 일종. 우리나라는 통계청에서 경기종합지수를 매달 작성, 발표하고 있다. 경기종합지수는 앞으로의 경기를 단기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선행지수(leading CI), 현재의 경기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동행지수(coincident CI) 및 현재의 경기를 사후적으로 확인해주는 후행지수(lagging CI)의 3가지로 구분한다.

이들 지수는 각각의 구성지표를 종합해 작성되며 개별구성지표의 월별통계자료(original series)에서 계절적 요인, 재해 또는 우발적 사건과 같은 비정상적인 요인 등 경기외적인 변동요인을 통계적 방법으로 제거한다.

  • 금융자산[financial assets]

    금융거래에는 대차관계가 발생하게 되는데 금융자산이란 이때의 금융적 청구권을 말하며 금융시장...

  • 고정비율[fixed assets to net worth ratio]

    고정비율은 고정자산(유형자산)의 자기자본에 대한 비율[(고정자산+투자자산)/자기자본]로서 ...

  • 공공직접시행정비

    LH·SH공사 등이 재개발·재건축 사업을 단독으로 직접 시행하며 사업·분양 계획을 주도하는...

  • 기업경상이익률[financial expenses and ordinary income to total assets]

    자금 원천에 관계없이 기업에 투하된 총자본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되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