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세조종
주가를 인위적으로 상승, 하락, 혹은 고정시키는 것으로 흔히 "작전"이라고 한다. 직접 거래에 참가하지 않더라도 거래를 시키거나 돕기만 해도 시세조종행위로 형사처벌받을 수 있다. 이전에는 ''시세조정 목적''을 갖고 시세에 영향을 줘야 처벌이 가능했다. 하지만 2015년 7월 자본시장법의 개정에 따라 시세조정 목적이 인정되지 않아도 시장의 공정한 가격 형성을 방해할 우려가 있다면 제재 대상이 된다.
관련어
- 참조어이상거래
-
시분할LTE[TD-LTE]
데이터 통신에서 시간을 소단위로 분할하고, 어떤 간격으로 개개의 미소 시간을 써서 데이터의...
-
산업공학[industrial engineering]
산업생산성을 연구하고 추천된 변화를 수행하는 학문.산업공학은 근로자, 재료, 설비의 통합된...
-
산업금융채권[industrial financial debenture, 산금채]
한국산업은행이 1954년부터 기간사업 등에 대한 자금지원을 목적으로 발행하고 있는 특수채권...
-
시장지배적 사업자
시장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거래 분야 중 특정한 거래 분야에서 자신이 구입하거나 판매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