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별수가제
진료할 때마나 진찰료, 검사료, 처치료, 입원료, 약값 등에 따로 가격을 매긴 뒤 합산하여 진료비를 산정하는 제도.
진료의 다양성과 의사의 전문성을 인정한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과잉진료와 의료비 급증을 야기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행위별수가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개념이 포괄수가제이다. 포괄수가제는 치료 과정이 비슷한 환자들을 묶어 하나의 가격을 매긴다. 불필요하고 과다한 진료행위를 줄이고, 의료비용의 사전예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기입원 유인을 제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보험자는 진료비 지급 비용을 절감하고, 환자는 진료비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관련어
- 참조어포괄수가제
-
홍콩H지수[Hang Seng China Enterprises Index, HSCEI]
중국본토기업이 발행했지만 홍콩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되고 있는 주식(H-Shares) 중 ...
-
한·미 FTA[韓ㆍ美 自由貿易協定, South Korea–United States Free Trade Agreement]
한국과 미국간의 상품 및 서비스 무역에 있어서의 관세 철폐 등에 관해 맺은 협정. 20...
-
호모루덴스[Homo Ludens:]
'놀이하는 인간'이라는 말로 네덜란드 역사학자인 요한 하위징아(Johan Huizinga,...
-
하우스 에이전시[house agency]
광고 대행사 가운데 특정 광고주의 자본하에 있는 것으로 그 기업의 경영지배를 받는 일종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