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포괄수가제

[diagnosis-related group, DRG]

환자에게 제공되는 의료서비스의 종류나 양에 상관없이 환자가 어떤 질병의 진료를 위해 입원했었는가에 따라 미리 책정된 진료비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일종의 진료비 정찰제다.

진찰료, 검사료, 처치료, 입원료, 약값 등에 따로 가격을 매긴 뒤 합산하는 행위별수가제가 진료를 늘릴수록 의사 수입이 많아지는 구조적 한계 때문에 과잉진료와 의료비 급증을 야기한다는 지적에 따라 대안으로 도입됐다.

우리나라에선 2002년 선택 참여 형태로 처음 포괄수가제가 도입됐고 2012년 7월부터 백내장·편도·맹장·항문·탈장·자궁·제왕절개 등 7가지 수술에 대한포괄수가제가 동네의원과 중소병원을 대상으로 도입됐고 2013년 7월부터는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으로 확대됐다.

미국과 일본도 1990년대 말과 2000년대 초 도입한 오래되지 않은 제도다. 최근 들어 신흥국들도 도입 중에 있다. 2014년 인도네시아에서 국가보장 의료보험을 포괄수가제에 기반해 수립한 것이 대표적이다.

관련어

  • 플롭스[Floating-point Operations Per Second, FLOPS]

    CPU가 1초당 수행할 수 있는 부동소수점 연산의 횟수를 말한다. 예를 들어 1 MFLOP...

  • 파탄주의

    결혼생활을 누가 깨뜨렸는지와 상관없이 부부관계를 유지할 수 없으면 이혼을 허용하는 제도. ...

  • 피처폰[feature phone]

    스마트보다 성능이 낮고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휴대 전화를 말한다. 스마트폰이 범용 OS를...

  • 편익관세

    조약에 의한 관세상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국가의 생산물이 수입될 때 기존 외국과의 조약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