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표준점수ㆍ백분위ㆍ등급

 

수능 성적표에는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 등이 표시된다. 표준점수는 수험생의 성적 분포(평균 및 표준편차)에 따라 영역별 난이도를 감안해 다시 매긴 점수다. 개인의 성적이 평균점수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지 알려주는 지표이기 때문에 시험이 어려워져 전체 평균이 낮으면 표준점수는 높아진다. 올해처럼 수리영역이 어려웠으면 수리 원점수가 좋은 학생의 표준점수는 상대적으로 높게 상승한다.

백분위점수는 표준점수를 석차를 기준으로 다시 매긴 것이다. 자신이 받은 표준점수보다 낮은 학생이 전체의 70%라면 이 학생의 백분위점수는 70점이다. 표준점수는 다시 분포별로 1등급(상위 4% 이내)부터 9등급까지 나뉜다.

  • 플림스[furture public l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FPL MTS]

    미래공중육상이동통신. 각 개인의 전화기마다 주민등록번호처럼 고유번호가 부여되고 이용자는 지...

  • 필드 스톱제[field stop system]

    PC, 정보기기, 카 오디오 등 내수용 상품에 중대한 결함이 생길 경우 개선될 때까지 판매...

  • 파리조약[Convention of Paris]

    정식으로는 ‘공업소유권의 보호에 관한 파리조약(Convention of Paris for ...

  • 폐업컨설턴트

    법인등의 사업체가 사업부진으로 청산할 때 가능한 자산손실 적게 하여 청산가치를 높일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