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표준점수ㆍ백분위ㆍ등급

 

수능 성적표에는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 등이 표시된다. 표준점수는 수험생의 성적 분포(평균 및 표준편차)에 따라 영역별 난이도를 감안해 다시 매긴 점수다. 개인의 성적이 평균점수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지 알려주는 지표이기 때문에 시험이 어려워져 전체 평균이 낮으면 표준점수는 높아진다. 올해처럼 수리영역이 어려웠으면 수리 원점수가 좋은 학생의 표준점수는 상대적으로 높게 상승한다.

백분위점수는 표준점수를 석차를 기준으로 다시 매긴 것이다. 자신이 받은 표준점수보다 낮은 학생이 전체의 70%라면 이 학생의 백분위점수는 70점이다. 표준점수는 다시 분포별로 1등급(상위 4% 이내)부터 9등급까지 나뉜다.

  • 펀드런[fund-run]

    펀드 투자자들이 펀드의 수익률이 떨어지거나 부실해 질 것을 우려해 펀드를 일시에 대량으로 ...

  • 포괄적 연금통계

    기초연금, 국민연금, 직역연금(공무원연금, 군인연금, 사학연금), 주택연금, 개인연금 등 ...

  • 프리딕스[Predix]

    2015년 9월 29일 미국의 제너럴일렉트릭(GE)사가 사내 콘퍼런스 ‘마인즈+머신즈(mi...

  • 파생상품

    채권, 통화, 주식 등 다른 대상의 가격 변동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금융상품을 파생상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