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별수가제
진료할 때마나 진찰료, 검사료, 처치료, 입원료, 약값 등에 따로 가격을 매긴 뒤 합산하여 진료비를 산정하는 제도.
진료의 다양성과 의사의 전문성을 인정한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과잉진료와 의료비 급증을 야기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행위별수가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개념이 포괄수가제이다. 포괄수가제는 치료 과정이 비슷한 환자들을 묶어 하나의 가격을 매긴다. 불필요하고 과다한 진료행위를 줄이고, 의료비용의 사전예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기입원 유인을 제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보험자는 진료비 지급 비용을 절감하고, 환자는 진료비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관련어
- 참조어포괄수가제
-
활동소득[active income]
급여, 임금 그리고 수수료 등과 같이 근로활동에 의해 얻어지는 소득. 이자소득이나 부동산 ...
-
해외 ETF 직접구매
국내 금융투자회사를 통해 해외?느攘梔緻訃?ETF)즐 직접 구매(직구)하는 것. 해외 거...
-
한국예탁결제원[Korea Securities Depository, KSD]
주식이나 채권 등 유가증권의 집중 예탁업무를 담당하는 기관. 국내 유일의 증권중앙예탁기관....
-
항상소득가설[permanent income hypothesis]
항상소득이 소비를 결정한다는 이론으로 미국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먼이 제창한 소비함수이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