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행위별수가제

 

진료할 때마나 진찰료, 검사료, 처치료, 입원료, 약값 등에 따로 가격을 매긴 뒤 합산하여 진료비를 산정하는 제도.

진료의 다양성과 의사의 전문성을 인정한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과잉진료와 의료비 급증을 야기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행위별수가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개념이 포괄수가제이다. 포괄수가제는 치료 과정이 비슷한 환자들을 묶어 하나의 가격을 매긴다. 불필요하고 과다한 진료행위를 줄이고, 의료비용의 사전예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기입원 유인을 제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보험자는 진료비 지급 비용을 절감하고, 환자는 진료비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관련어

  • 해양플랜트 지원선박[offshore support vessel, OSV]

    건조된 해양플랜트 시설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선박과 해양플랜트에 보급품을 수송하는 선박...

  • 한미원자력협정[Korea-US Nuclear Agreement]

    한미원자력협정은 한국과 미국이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목적으로 체결한 협정이다. 영문 공식...

  • 현금영수증제

    자영업자의 현금거래를 파악하기 위해 마련한 제도. 현금영수증이란 현금영수증 가맹점이 재화 ...

  • 한국은행[Bank of Korea]

    우리나라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은 1950년 6월 한국은행법에 의해 설립되었다. 한국은행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