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동향지수
[diffusion index, DI]경기동향지수는 경기종합지수와는 달리 경기변동의 진폭이나 속도는 측정하지 않고 변화나 방향만을 파악하는 것으로서 경기의 국면 및 전환점을 판단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작성방법은 총구성지표수에서 차지하는 증가지표수와 보합지표수를 파악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하는데 0∼100의 수치로 표시된다.
위의 공식에 의해 작성된 경기동향지수가 50을 초과하면 경기는 확장 국면에, 50 미만이면 수축 국면에 있음을 나타내며, 50이면 경기가 전환점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경기동향지수는 경기종합지수와는 달리 개별경제지표들의 변화나 방향만을 종합한 경기지표이므로 경기동향지수 자체가 경기의 변동속도를 정확히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
국제투자분쟁해결센터[International Centre for Settlement of Investment Disputes, ICSID]
세계은행 산하 국제중재기관으로 1966년 설립됐다. 회원국 간 투자분쟁을 중재하는 역할을 ...
-
경제공동체[Economic Union]
회원국 간 금융, 재정 등 경제적인 분야에서 공동 정책을 수행하는 공동체로 공동시장보다 한...
-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가구별 인원을 고려해 계산한 소득분배지표. 가구 소득을 개인소득으로 환산한 것으로 소득 분...
-
기술적 회복[technical rally]
증권이나 상품선물가격이 전반적으로 하향하다가 단기적으로 급등하는 현상. 이러한 회복은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