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리히터 규모

 

1935년 미국 지질학자인 찰스 리히터 (C.Richter)가 지진의 규모를 비교할 수 있도록 제안한 단위.
''리히터 스케일(Richter scale)''이라고도 한다.

이는 지진계에 기록된 지진파의 진폭, 주기, 진앙 등을 계산해 산출되며 지진파로 인해 발생한 총에너지의 크기이자 계측관측에 의해 계산된 객관적 지수다.

예를 들어 M9.0이라고 표현할 때 M은 규모(magnitude)를 의미하고 수치는 소수 1자리까지 나타내며, ''리히터 스케일 혹은 리히터 규모 5.6의 지진'' 또는 ''규모 5.6의 지진''라 표현된다.

한편 리히터 규모는 지진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로 ''절대적'' 개념이고 ''상대적'' 개념인 진도와는 다른 개념이다. 반면 ''진도''는 지진이 일어났을 때 사람의 느낌이나 주변의 물체 또는 구조물의 흔들림 정도를 정해진 설문을 기준으로 계급화한 수치로 표현한 것이다. 최근에는 계측기에 의해서 직접 관측한 값을 쓰는 경우도 많다. 또 진도의 단계는 세계적으로 통일되어 있지 않으며 나라마다 실정에 맞는 척도를 채택하고 있다.

◆지진 규모에 따른 사람의 느낌이나 사물의 피해 정도
규모 3.5미만 : 사람이 거의 느끼지 못하지만 기록된다
규모 3.5-5.4 : 가끔 느껴지고 미약한 피해가 발생한다(창문 흔들리고 물건 떨어짐)
규모 5.5-6.0 : 건물에 약간의 손상이 온다(벽균열, 서있기 곤란)
규모 6.1-6.9 : 사람이 사는 곳이 파괴될 수 있다(가옥 30% 이하 파괴)
규모 7.0-7.9 : 큰 피해를 야기한다(가옥 전파, 교량 파괴, 산사태, 지각 균열)
규모 8.0 이상: 거대한 지진으로 모든 마을이 파괴된다.

관련어

  • 라 포스트[La Poste]

    프랑스 우정사업본부. 1991년 우편, 전신, 전화서비스를 담당하는 정부 부처에서 분할돼 ...

  • 로스쿨법 시행령안

    사법제도개혁추진위원회가 2005년 5월에 의결해 교육부로 이송한 방안을 근거로 마련된 것으...

  • 램버스[Rambus]

    1990년 설립된 미국의 반도체 설계회사. 고속반도체 인터페이스 개발 설계 및 개발하여 업...

  • 라마[Large Language Model for Applications, LLaMA]

    2023년 2월 24일 페이스북의 모회사인 메타(Meta)가 오픈 소스 형태로 공개한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