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리히터 규모

 

1935년 미국 지질학자인 찰스 리히터 (C.Richter)가 지진의 규모를 비교할 수 있도록 제안한 단위.
''리히터 스케일(Richter scale)''이라고도 한다.

이는 지진계에 기록된 지진파의 진폭, 주기, 진앙 등을 계산해 산출되며 지진파로 인해 발생한 총에너지의 크기이자 계측관측에 의해 계산된 객관적 지수다.

예를 들어 M9.0이라고 표현할 때 M은 규모(magnitude)를 의미하고 수치는 소수 1자리까지 나타내며, ''리히터 스케일 혹은 리히터 규모 5.6의 지진'' 또는 ''규모 5.6의 지진''라 표현된다.

한편 리히터 규모는 지진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로 ''절대적'' 개념이고 ''상대적'' 개념인 진도와는 다른 개념이다. 반면 ''진도''는 지진이 일어났을 때 사람의 느낌이나 주변의 물체 또는 구조물의 흔들림 정도를 정해진 설문을 기준으로 계급화한 수치로 표현한 것이다. 최근에는 계측기에 의해서 직접 관측한 값을 쓰는 경우도 많다. 또 진도의 단계는 세계적으로 통일되어 있지 않으며 나라마다 실정에 맞는 척도를 채택하고 있다.

◆지진 규모에 따른 사람의 느낌이나 사물의 피해 정도
규모 3.5미만 : 사람이 거의 느끼지 못하지만 기록된다
규모 3.5-5.4 : 가끔 느껴지고 미약한 피해가 발생한다(창문 흔들리고 물건 떨어짐)
규모 5.5-6.0 : 건물에 약간의 손상이 온다(벽균열, 서있기 곤란)
규모 6.1-6.9 : 사람이 사는 곳이 파괴될 수 있다(가옥 30% 이하 파괴)
규모 7.0-7.9 : 큰 피해를 야기한다(가옥 전파, 교량 파괴, 산사태, 지각 균열)
규모 8.0 이상: 거대한 지진으로 모든 마을이 파괴된다.

관련어

  • 로빈후드[Robinhood]

    미국의 무료 주식 거래앱. 2020년 6월 현재 이용자가 1300만명에 달하며 평균 연령은...

  • 루이스 알베르토 모레노[Luis Alberto Moreno]

    미주개발은행 총재. 모레노 총재는 콜롬비아인 아버지가 펜실베이니아대 의대에서 유학 중이던 ...

  • 레드캡[reduced capability, RedCap]

    5G 망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 경량화한 IoT 서비스 지원 기술로, 5G IoT단말의 대...

  • 라이프사이클펀드[life-cycle fund]

    연령대에 맞춰 가입자의 의사나 정해진 규칙(rule)에 따라 투자대상을 바꿔나가는 펀드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