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해외펀드 손실상계

 

해외펀드 비과세 시기였던 2007년 6월부터 2009년 말까지 해외펀드로 손실을 본 투자자들의 세금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2010년부터 발생한 이익과 상계처리해 순수익이 났을 때만 소득세를 무는 제도.

당초 2010년에 1년간 한시적으로 시행 예정이었지만 해외주식형펀드의 수익률이 빠르게 회복되지 못하는 점을 고려, 매년 연장돼 2013년 세법 개정에서 올해 말까지 시행키로 결정됐었다.

그러나 2014년 8월 6일 정부는 `2015년 세법개정안’을 통해 해외펀드 손실 상계 조항의 일몰기한 연장 조치를 2014년 말로 종료하기로 결정했고 이에 따라 2015년부터 발생하는 소득분에 대해서는 손실 상계 조치가 적용되지 않는다.

  • 항해사

    항해사는 선박 운항을 맡은 사람으로 조타수에게 방향을 지시하는 등 지휘 역할을 수행한다.

  • 효율임금이론[efficiency wage theory]

    시장균형 임금보다 높은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고 보는 이론. 생산성...

  • 히트플레이션[heatflation]

    열을 뜻하는 '히트(Heat)'와 물가 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을 ...

  • 한반도 4대 원칙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7년 12월 14일 북경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