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해외증권

 

국내기업이 자금조달을 위해 해외에서 발행한 증권을 말한다. 해외증권은 크게 주식연계증권과 주식비연계증권으로 나뉜다. 주식연계증권은 말 그대로 주식과 관련된 증권으로 일정 기간 후 주식으로 전환이 가능한 전환사채(CB), 신주를 받을 수 있는 신주인수권부채권(BW) 등이 있다. 주식예탁증서(DR) 역시 주식연계증권의 일종이다. 주식비연계증권은 ‘straight bond’라고 불리는 데 국내기업이 국내에서 발행하는 회사채와 그 성격이 같다. 따라서 발행기업의 신용도에 따라 금리가 차등화된다. 양키 본드, 사무라이 본드 등이 국제금융시장에서 발행되는 대표적인 주식비연계증권이다.

한 나라의 기업이 해외에서 증권을 발행할 수 있다는 것은 그만큼 대외 신인도가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기업들이 198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해외증권을 발행하지 못한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해외증권을 발행하면 국내에서 자금을 조달할 때보다 금리(연 5% 안팎)가 싸기 때문에 해마다 발행 규모가 늘어나고 있다.

  • 황의 법칙[Hwang''s Law]

    황창규 삼성전자 반도체 사장이 2002년 한 반도체 학술회의에서 발표한 것. 휴대전화, 디...

  • 후생복지

    기업의 보수제도 중에서 현금급여 등 임금에 관한 사항을 직접급여라 할 때 간접급여의 형태를...

  • 홈 네트워킹[home networking]

    가정에 있는 전자제품들이 서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나의 망으로 묶어 주는 것. ...

  • 행동경제학[behavioral economics]

    인간의 실제 행동을 심리학, 사회학, 생리학적 견지에서 바라보고 그로 인한 결과를 규명하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