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전문의

[board-certified physician/surgeon]

의사면허를 취득한 일반의, 전문의 과정을 거친 후 내과 외과 등 26개 진료과목별 자격시험에 합격한 의사.

전문의가 되려면 인턴 1년과 레지던트 3-4년 과정을 수료하고 전문의 자격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해외에 비해 전문의 비율이 높다.

공공기관 채용률이 높은 국가와 달리 민간의료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많은 의사들은 개원을 염두에 두고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기 때문이다.

관련어

  • 중소기업

    중소기업은 근로자 수, 매출액, 자본금 등으로 분류하는데 업종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다. 제...

  • 자유전공학부

    전공을 정하지 않고 입학한 뒤 학년이 올라가면서 일정 시점에 원하는 전공을 선택하는 제도다...

  • 점 돌연변이[point mutation]

    유전자 서열 중 한 개의 염기가 바뀌어 생기는 돌연변이. 만성 골수성 백혈병의 원인 유전자...

  • 자익신탁

    위탁자와 수익자가 동일한 신탁으로 신탁재산에서 생기는 이익(원금과 이익)을 위탁자 자신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