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사모전환사채

[privately placed CB]

공모를 거치지 않고 특정한 제3자에게 배정하는 방식으로 발행되는 전환사채(CB).

일반적으로 CB는 채권과 주식의 성격을 동시에 갖고 있기 때문에 전환가격이나 전환청구기간 등이 정해져 있다. 통상 ‘전환가격은 기준주가의 100% 이상, 전환청구기간은 발행 후 3개월 경과 후’등으로 규정돼 있다. 그러나 사모 방식은 대주주로부터 직접자금을 조달하거나 제3자배정 방식으로 발행하기 때문에 이런 조건을 지키지 않고 발행했다. 발행 후 곧바로 주식으로 전환하기도 했고 전환가격 또한 인수자와 발행기업이 직접 협의를 통해 정했다. 따라서 적대적 기업인수·합병(M&A)으로부터 경영권을 방어하기 위해 대주주가 사모CB를 과도하게 발행하는 등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했다.

사모해외전환사채 기업이 해외에서 기관투자가나 특정개인에 대해 개별적 접촉을 통해 매각하는 전환사채이다.
불특정 다수인을 대상으로 발행하는 공모전환사채에 비해 발행시간과 비용이 절약되고 기업내용 공개를 피할 수 있다는 면에서 기업들이 선호하고 있다. 인수자 입장에서는 전환사채를 매입하는 만큼 발행기업의 주식을 인수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지분매각이나 기업인수, 합병 등에 주로 이용되기도 한다.

  • 시리[SIri]

    애플이 2011년 세계최초로 선보인 인공지능 (AI)음성인식 비서. AI비서의 원조로 꼽힌...

  • 샹그릴라 신드롬[Sangri-La Syndrome]

    샹그릴라는 영국 소설가 제임스 힐튼의 소설 에 나오는 가공의 장소로서 평생 늙지 않고 영원...

  • 선수금 환급보증[Refund Guarantee, RG]

    선박을 주문한 선주가 조선업체에게 선수금을 줄 때 은행ㆍ보험 등 금융회사로 부터 받는 보증...

  • 상장폐지기준[delisting standard]

    증권시장에서 상장유지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장폐지를 결정하는 기준. 일반적으로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