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상장폐지기준

[delisting standard]

증권시장에서 상장유지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장폐지를 결정하는 기준. 일반적으로 사업(반기)보고서 미제출, 감사의견 부적정, 영업정지, 부도발생, 자본잠식 등이 이에 해당되는 기준이다.

그러나 상장유지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에도 바로 상장을 폐지하는 것은 아니다. 일단 관리종목으로 지정한 후 일정한 유예기간 동안 폐지기준이 해소되지 않으면 상장폐지를 확정하고 7일간의 정리매매를 거친 후 상장폐지된다.

*코스닥시장 즉시 상장폐지 기준
-2년간 3회 분기, 반기, 사업보고서 미제출
-사업보고서 제출기한 후 10일 내 미제출
-감사의견 부적정, 의견거절, 범위제한 한정

*유가증권시장 상장폐지기준
-사업보고서 미제출로 관리종목 지정후 법정제출 기한부터 10일 이내 사업보고서 미제출
-반기보고서 미제출로 관리종목 지정 후 사업 반기 분기보고서 미제출
-최근 사업연도 감사보고서상 감사의견이 부적정 또는 의견거절(연결감사보고서 포함)
-2년 연속 감사의견이 감사범위 제한 한정

  • 세계지적재산권기구[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WIPO]

    지적재산권 보호와 이를 통해 혁신과 경제개발의 조장을 책임지고 있는 주요 정부간 기구로 국...

  • 수소 스테이션[hydrogen station]

    차량이 주유소나 가스충전소에서 석유연료나 액화석유가스(LPG)를 충전하듯이 수소연료전지 자...

  • 신디케이트 론[syndicated loan]

    둘 이상의 복수 금융기관이 공통의 조건으로 기업에 자금을 융자하는 대출 방법. 기업의 소요...

  • 셀 파우치용 알루미늄 필름

    알루미늄을 미크론(1mm의 1/1000) 단위의 균일한 두께로 매우 얇게 가공한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