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상장폐지기준

[delisting standard]

증권시장에서 상장유지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할 때 상장폐지를 결정하는 기준. 일반적으로 사업(반기)보고서 미제출, 감사의견 부적정, 영업정지, 부도발생, 자본잠식 등이 이에 해당되는 기준이다.

그러나 상장유지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에도 바로 상장을 폐지하는 것은 아니다. 일단 관리종목으로 지정한 후 일정한 유예기간 동안 폐지기준이 해소되지 않으면 상장폐지를 확정하고 7일간의 정리매매를 거친 후 상장폐지된다.

*코스닥시장 즉시 상장폐지 기준
-2년간 3회 분기, 반기, 사업보고서 미제출
-사업보고서 제출기한 후 10일 내 미제출
-감사의견 부적정, 의견거절, 범위제한 한정

*유가증권시장 상장폐지기준
-사업보고서 미제출로 관리종목 지정후 법정제출 기한부터 10일 이내 사업보고서 미제출
-반기보고서 미제출로 관리종목 지정 후 사업 반기 분기보고서 미제출
-최근 사업연도 감사보고서상 감사의견이 부적정 또는 의견거절(연결감사보고서 포함)
-2년 연속 감사의견이 감사범위 제한 한정

  •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2012년 중국 공산당 제18차 전국대표대회(당대회)에서 ...

  • 시프트[Shift]

    서울시가 중산층과 실수요자를 대상으로 공급하는 장기전세주택 브랜드를 말한다. 서울에 거주하...

  • 스프레드 시트[spread sheet]

    일상 업무에 많이 발생되는 여러 가지 도표 형태의 양식으로 계산하는 사무업무를 자동으로 할...

  • 세틀코인[SETLcoin]

    세계적인 투자은행(IB)인 골드만삭스가 개발중인 가상화폐. 골드만삭스는 2015년 11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