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신연비

 

지식경제부가 2012년 부터 검사를 받은 엔진을 장착한 차량에 대해 의무적으로 표시하게 한 연비. 구연비는 실제 도로가 아닌 실험실에서 연비를 측정했기 때문에 환경적 요인이 포함돼 있지 않기 때문에 실제연비보다 떨어진다. 그래서 신연비는 도심·고속도로·고속 및 급가속·에어컨 가동·외부저온조건 등 5가지 상황에서 측정해 ‘복합 연비’를 발표한다. 실제 연비와 가장 가까운 측정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신연비 측정 방식이 도입되면서 연비 등급 기준도 까다로워졌다. 기존에는 15km/L(구연비) 이상이면 1등급을 받았지만 그 기준이 16km/L(신연비)로 올랐다. 구연비로 최소 20km/L 이상이 나와야만 신연비 기준으로 1등급을 받을 수 있다. 모든 차량에 신연비 기준을 적용하려면 2013년 1월 1일이 지나야 한다.

  • 성난 젊은이[Angry Men]

    1950년대 영국에서 일어난 전후 세대를 의미한다. 특히 전후 기성세대의 위선적인 태도, ...

  • 사망일시금

    민연금 가입자(였던 자) 또는 지급받은 연금액이 사망 일시금 액보다 적은 연금 수급권자(노...

  • 세금계산서

    사업자가 물건을 사고팔 때 부가가치세법에 따라 발행하는 영수증. 부가가치세법 제16조는 납...

  • 세컨드 홈

    '세컨드 홈'은 서울 등 수도권에 집 한 채를 가진 이들이 지방 인구감소지역에 두 번째 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