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산학협력기술지주회사

 

대학이 보유한 기술 및 연구 성과의 사업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산학협력단이 학교가 보유하고 있는 지적재산권을 이용하여 만든 회사다. 기술지주회사에서 창출된 수익은 대학에 재투자된다. 대학이 관리 및 통제를 맡는다는 점에서 공익법인적인 성격을 띠고 사업은 자회사에서 진행하기 때문에 영리법인적인 성격을 동시에 띠는 특수한 법인이다. 단, 설립 시에는 대학 산학협력단이 기술의 시장가치를 가격으로 환산한 후, 총액이 지주회사 자본금의 50%이상이 돼야한다.

  • 세금우대소액채권저축

    세금우대소액채권저축은 소액채권 투자자에게 세금혜택을 부여하여 채권수요 기반을 확충하기 위한...

  • 사용후핵연료[high-level waste]

    원자력발전소에서 3~5년간 쓰고 남은 핵연료(폐연료봉)를 말한다. 강한 방사선과 고열을 방...

  • 신데렐라 전략[cinderella stategy]

    파티가 절정에 달한 밤 12시에 신데렐라가 집으로 돌아가듯, 실적 기대가 최고조에 달했을 ...

  • 상용 근로자

    주 소정근로시간이 40시간, 고용계약기간은 1년이상(통계청) 혹은 3개월 중 45일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