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공매도 잔고 보고제도

 

주식 발행량의 일정 비율 이상으로 공매도 포지션을 쌓은 것에 대해 투자자가 해당 주식의 종목명, 투자자의 성명 등 인적 사항, 발행 주식 수 대비 공매도 포지션 비율 등을 금융당국에 보고토록 하는 제도. 공매도에 의한 시장교란과 주가 왜곡을 막아 투자자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호주, 독일, 프랑스 등 상당수 선진국이 공매도 보고제도와 공시제도를 동시에 시행하고 있다. 한국도 2012년 8월 30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장사 발행 주식의 0.01% 이상 공매도 포지션을 가진 투자자는 금융감독원에 의무적으로 이 사실을 보고해야 했다. 영국(0.25%) 일본(0.25%) 홍콩(0.02%) 등 주요 선진국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기준이 엄격한 편이다. 증권사 등이 주식시장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공매도를 한 것은 포지션 계산에서 제외된다.
하지만 2016년 6월 30일부터는 잔고가 0.01% 이상이어도 평가액이 1억원 미만이면 보고의무를 면제받게 된다. 다만 평가액이 10억원이 넘을 경우 잔고에 관계없이 보고해야 한다.

  • 글로컬리제이션[glocalization]

    globalization(세계화)와 localization(지방화)의 합성어. 세계화가 국...

  • 그린 비즈니스[green business]

    녹화산업. 즉, 공해나 개발 등으로 잃어가고 있는 녹지를 되살리려는 산업. 사업내용으로서는...

  • 계절관세[seasonal duties]

    농산물 등 1차 산품은 계절에 따라 가격등락이 심한데 그러한 가격변동이 심한 물품의 수입으...

  • 경제특구[special econimic zone]

    외국인투자 유치정책의 일환으로서 외국자본과 기술의 활발한 국내유치를 유도하기 위해 각종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