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경제특구

[special econimic zone]

외국인투자 유치정책의 일환으로서 외국자본과 기술의 활발한 국내유치를 유도하기 위해 각종 인프라 제공은 물론, 세제 및 행정적 특혜 등을 주기 위해 선정된 특정지역 또는 공업단지를 말한다. 본래 중국이 1979년 광동성의 심천, 주해, 산동, 복건성 등에 처음 설치하면서 사용되었으나 이후 그 긍정적인 효과가 확대되면서 공산권 국가나 저개발 국가는 물론이고 선진국에서도 유사한 정책을 취하고 있다.

북한에서도 1991년 12월 ''나진선봉 자유경제무역지대'' 창설을 시작으로 최근에는 ''신의주 경제특구'', ''개성공단'', ''남포 보세가공구'' 창설과 같은 구상들이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어 향후 남북경협 확대의 전진기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그람음성균'

    살모넬라균과 이질균 등을 포함하는 그람은성균은 면역력이 떨어진 중증 질환자에게 인공호흡기 ...

  • 공매도 공시제도

    공매도 잔고를 대량 보유한 개인·법인 투자자 또는 대리인이 공매도 잔고가 상장주식 총수 대...

  • 가전용 반도체 칩

    냉장고, 세탁기 등 생활가전에 사용되는 반도체 칩. 2022년 11월 삼성전자가 생활...

  • 개인순저축률

    개인순저축률은 개인 부문의 순처분 가능소득에 대한 순저축 비율을 의미한다. 즉 세금 등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