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파괴적 혁신

[disruptive innovation]

단순하고 저렴한 제품이나 서비스로 시장의 밑바닥을 공략한 후 빠르게 시장 전체를 장악하는 방식의 혁신을 말한다. 세계적 경영학자인 미국의 크리스텐슨 교수가 창시한 용어로 그가 1997년에 쓴 저서 《혁신 기업의 딜레마》를 통해 처음 이 개념을 소개했다. 책은 10개 언어로 번역돼 25개국에서 출판됐으며 현재까지 경영학 분야 최고 스테디셀러 중 하나로 꼽힌다.

1952년 솔트레이크시티에서 태어난 크리스텐은 브리검영대와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경제학을 전공했으며 하버드대에서 경영학석사(MBA)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2년부터 하버드대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2000년에는 경영컨설팅 회사인 이노사이트를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 2012년 2월 미국 경영전문 사이트 ‘싱커스 50’은 그를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경영 사상가로 선정하기도 했다.

  • 파로스 프로그램[paros program]

    웹 응용프로그램이나 웹사이트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소프트웨어. 소프...

  • 표본추출[sampling]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전체 대상인 모집단(population)을 설정하고 부터 모집...

  •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과자 봉지 등의 폐비닐, 폐플라스틱 등 재활용이 어려운 플라스틱 폐기물을 무산소 상태에서 ...

  • 프로필렌[propylene]

    액화석유가스로, 연료와 중합가솔린의 제조 원료로 사용된다. 이 밖에 석유화학 원료로서 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