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템킨 경제
[Potemkin economy]겉은 번지르르하지만 속은 썩은 경제 상황을 말한다.
1787년 러시아 여제인 예카테리나 2세가 새 합병지인 크림반도 시찰에 나서자, 해당 지역 총독이었던 그레고리 포템킨은 여제의 환심을 사기 위해 낙후된 크림반도의 모습을 감추기 위해 시찰주변지역에 겉만 화려한 가짜 마을을 조성했다..
이렇듯 초라한 현실을 숨기고 다른 모습을 연출하기 위해 만들어진 가공의 상태나 상활을 '포템킨 빌리지'라고 부른다.
이 말은 옛 소련 해체 후 폴 크루그먼 등이 자주 사용해서 경제용어로 자리 잡았다. 2012년 까지 7년간 연평균 7%씩 성장하던 러시아 경제가 푸틴이 재집권한 2013년 1.3%로 추락했고 2014년 3월 크림 사태 이후 외국 자본까지 썰물처럼 빠져나가는 상황을 두고 포템킨 경제라는 용어가 자주 사용됐다.
-
프랙탈[fractal]
부분이 전체를 닮는 자기 유사성의 특징을 일컫는 용어. 일정 기간의 날씨 패턴은 긴 주기의...
-
표준 화물선 환산 톤수[compensated gross tonnage, CGT]
선박 건조량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톤수로 배의 화물 총중량(Gross Tonnage)에 여...
-
풍선효과[baloon effect]
풍선의 한 곳을 누르면 다른 곳이 불거져 나오는 것처럼 문제 하나가 해결되면 또 다른 문제...
-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파견근로자의 고용안정과 복지증진을 도모하고 인력수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법률로 줄여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