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유로본드

[eurobond]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가 유로존의 금융위기 해결을 위해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채권.

EC가 제시하고 있는 유로본드의 주요 방향은 세가지이다. 첫 번째 안은 회원국의 국채를 유로본드로 대체하고, 유로존 각국은 다른 국가의 채권에 대해 지급보증을 하는 것이다. 두번째는 각국 국내총생산(GDP)의 60%까지만 유로본드로 대체하고 나머지는 자국 책임 아래 국채를 발행하는 방안이다. 세 번째 안은 국채 중 일부만 각국으로부터 지급보증을 받는 것으로, EC는 이를 통해 회원국의 국채 발행 규모와 조건 등을 알수 있어 위기에 사전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EC는 유로본드가 국채발행과 수익률 안정을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며 유로본드의 발행이 허용되면 회원국들은 각국의 사정에 크게 개의치 않고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하지만 독일은 유로본드를 도입할 경우 재정난을 겪고 있는 PIGS등의 EU가맹국들의 모럴헤저드를 이유로 이에 반대하고 있다.

  • 웨이퍼 레벨 패키지[wafer level package, WLP]

    웨이퍼 가공 후 하나씩 칩을 잘라내 패키징하던 기존 방식과 달리, 웨이퍼 상태에서 한번에 ...

  • 위성항법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1인공위성을 이용해 대상물의 위치, 고도, 속도를 알아내는 위성위치측정시스템. 3개 이상의...

  • 위기관리[management by crisis]

    사건이 발생함에 따라 전략이 수행되는 관리반응 방법. 기본적으로 근시안적 정책이 종종 조직...

  • 에이치코어[H CORE]

    지진과 같은 강한 외부 힘에도 건축물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개발된 현대제철의 내진강...